항우울작용을 하는 가바, 김치에 많다
/김치 블로그/김치 데스크 - 2008. 9. 5. 13:34
가바(GABA, γ(gamma)-aminobutyric acid), 혹은 감마아미노산은 이름 그대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주로 신경전달물질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 내에서는 주로 해마와 소뇌, 척수 등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왜! 지금 이 가바가 주목받고 있는 것일까요?
이 가바는 주로 진정작용 및 불안 억제에 작용합니다. 혈압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가 있으며 뇌 세포의 대사 기능도 촉진시키다고 해요. 가바가 많이 들어 있는 대표적 식품으로는 현미가 있는데, 신기하게도 현미가 발아함에 따라 점점 늘어납니다. 발아현미에는 백미의 약 10배에 이르는 가바가 들어 있다고 하는군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한 연구팀에서 김치의 숙성도와 가바 함량에 대해 연구한 결과가 얼마 전 발표되어 주목을 받았습니다.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오석흥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김치냉장고에서 배추김치를 14일간 숙성/보관했을 때 가바 함량이 최고치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숙성 2일을 거쳐 12일 동안 보관한 상태입니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렇게 14일간 숙성/보관된 김치에서는 배추김치 100g 당 최대 20.4mg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같은 무게의 다른 음식물들과 비교해볼 경우, 토마토의 최대 10배, 현미의 5배 수준이라고 하니 그야말로 가바의 보고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김치를 꾸준히 먹으면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해지는 데에 일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가바는 주로 진정작용 및 불안 억제에 작용합니다. 혈압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가 있으며 뇌 세포의 대사 기능도 촉진시키다고 해요. 가바가 많이 들어 있는 대표적 식품으로는 현미가 있는데, 신기하게도 현미가 발아함에 따라 점점 늘어납니다. 발아현미에는 백미의 약 10배에 이르는 가바가 들어 있다고 하는군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한 연구팀에서 김치의 숙성도와 가바 함량에 대해 연구한 결과가 얼마 전 발표되어 주목을 받았습니다.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오석흥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김치냉장고에서 배추김치를 14일간 숙성/보관했을 때 가바 함량이 최고치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숙성 2일을 거쳐 12일 동안 보관한 상태입니다.)
14일이 지나면 가바가 듬뿍 생겨날 김치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렇게 14일간 숙성/보관된 김치에서는 배추김치 100g 당 최대 20.4mg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같은 무게의 다른 음식물들과 비교해볼 경우, 토마토의 최대 10배, 현미의 5배 수준이라고 하니 그야말로 가바의 보고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김치를 꾸준히 먹으면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해지는 데에 일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김치 블로그 > 김치 데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고추장도 믿을 바 못 돼 (0) | 2008.10.28 |
---|---|
부적합한 중국산 김치 급증 (0) | 2008.10.13 |
불법적인 식품색소, 또 무더기 적발 (0) | 2008.09.24 |
김치 속의 나트륨, 소금으로 따지면 얼마일까? (0) | 2008.09.22 |
김치와 된장, 장수 식품인 것으로 밝혀져 (0) | 2008.09.10 |
2008 서울푸드페스티벌에서 김치를 만나자! (1) | 2008.08.20 |
김치와 함께 즐기는 김치체험테마파크 곧 개장 (0) | 2008.06.25 |
올림픽 보러 베이징 갈 땐 꼭 포장김치를! (0) | 2008.06.19 |
잘 익은 김치가 AI(조류 인플루엔자) 억제해 (1) | 2008.06.03 |
내 아이 건강 지킴이, 친환경 급식 (0) | 200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