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작은 가정, 김장보다 포장김치가 더 낫다
/김치 블로그/김치 데스크 - 2008. 11. 6. 10:36
드디어 대망의 11월입니다!! 공휴일도 하나 없는 11월에 이렇게 거창한 수식어를 붙이는 건, 바로 본격적인 김장 시즌이
시작되기 때문이에요. 예전에 비해 김장 규모는 집집마다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김장을 하지 않고서 한 해를 마무리지었다 할
수 없는 게 또 우리 한국인 아닐까요? 직접 재료들을 사다 집에서 담그든, 아니면 포장김치를 사든 말이지요.
작년에 이런저런 악조건으로 인한 원재료값 상승 때문에 김장 비용이 올라 힘드셨던 분들에게 희소식이 있네요. 올해 김장 비용은 작년에 비해 많이 내려갈 전망입니다.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올해 김장 비용은 4인 가족을 기준으로 가구당 17만 3천원 선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배추와 무 값이 작년에 비해 많이 내렸거든요. 풍작이기도 했고 이렇다할 재해가 없어서 풀리는 물량도 많은 까닭에 작년 대비 약 20% 정도 가격이 내릴 것이라고 하는군요.
한편 김장을 담그기 힘들거나 1~2인 규모의 가구라면 포장김치가 더 경제적입니다. 역시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4인 가족이 포장김치를 구입할 경우 40Kg 구입비용이 평균 13만 8천 원으로, 담가 먹을 경우보다 약 3~4만원이 절약되는 셈입니다. 하물며 가족 수가 이보다 더 적다면 두말 할 나위가 없겠지요. 보통 10Kg들이 포장김치에 평균적으로 5포기 정도가 들어가니, 40Kg 포장김치와 얼추 같은 양입니다. 여기에 김장을 담그기 위해 들이는 시간까지 고려한다면 가족 수가 적을 경우 포장김치가 나을 수도 있답니다.
물론 포장김치를 사실 때에는 모든 재료가 국산이 맞는지, 믿을 만한 곳에서 생산된 것인지 등을 꼼꼼히 따져보셔야 할 것입니다. HACCP과 같은 마크도 꼭 살펴보시고요. 그리고 작은 단위의 포장김치를 일단 구입한 다음 맛을 보시고, 입맛에 맞는다 싶을 때 대량구매하시는 게 좋으시겠죠? ^^
작년에 이런저런 악조건으로 인한 원재료값 상승 때문에 김장 비용이 올라 힘드셨던 분들에게 희소식이 있네요. 올해 김장 비용은 작년에 비해 많이 내려갈 전망입니다.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올해 김장 비용은 4인 가족을 기준으로 가구당 17만 3천원 선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배추와 무 값이 작년에 비해 많이 내렸거든요. 풍작이기도 했고 이렇다할 재해가 없어서 풀리는 물량도 많은 까닭에 작년 대비 약 20% 정도 가격이 내릴 것이라고 하는군요.
한편 김장을 담그기 힘들거나 1~2인 규모의 가구라면 포장김치가 더 경제적입니다. 역시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4인 가족이 포장김치를 구입할 경우 40Kg 구입비용이 평균 13만 8천 원으로, 담가 먹을 경우보다 약 3~4만원이 절약되는 셈입니다. 하물며 가족 수가 이보다 더 적다면 두말 할 나위가 없겠지요. 보통 10Kg들이 포장김치에 평균적으로 5포기 정도가 들어가니, 40Kg 포장김치와 얼추 같은 양입니다. 여기에 김장을 담그기 위해 들이는 시간까지 고려한다면 가족 수가 적을 경우 포장김치가 나을 수도 있답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비교한 김치블로그의 관련 글 보러 가기
물론 포장김치를 사실 때에는 모든 재료가 국산이 맞는지, 믿을 만한 곳에서 생산된 것인지 등을 꼼꼼히 따져보셔야 할 것입니다. HACCP과 같은 마크도 꼭 살펴보시고요. 그리고 작은 단위의 포장김치를 일단 구입한 다음 맛을 보시고, 입맛에 맞는다 싶을 때 대량구매하시는 게 좋으시겠죠? ^^
믿을 수 있는 한울의 프리미엄 김치, 쉬즈미 포기김치 보러 가기
'김치 블로그 > 김치 데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치 양념이 빚어낸 항암효과! (0) | 2008.12.15 |
---|---|
김치를 먹으면 노화 방지에 효과! (0) | 2008.11.27 |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08.11.25 |
김장 담그기 좋은 날, 서울은 11월 29일 (0) | 2008.11.18 |
수험생에게 꼭 필요한 브레인 푸드 (0) | 2008.11.12 |
발효식품이 아토피를 줄인다 (0) | 2008.10.30 |
대기업 고추장도 믿을 바 못 돼 (0) | 2008.10.28 |
부적합한 중국산 김치 급증 (0) | 2008.10.13 |
불법적인 식품색소, 또 무더기 적발 (0) | 2008.09.24 |
김치 속의 나트륨, 소금으로 따지면 얼마일까? (0) | 200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