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도 되고 간식도 되는 시원한 동치미
동치미. 겨울에 먹는 시원하고 새콤한 국물 김치. 동치미라는 이름 자체도 冬沈이라는 한자 말에 '이'라는 접미사가 붙어 생겼다고 할 정도로 대표적인 겨울 김치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동치미를 '무김치의 하나. 흔히 겨울철에 담그는 것으로 소금에 절인 통무에 끓인 소금물을 식혀서 붓고 심심하게 담근다'라고 설명해 놨다.
어릴 적 동치미는 단순한 김치가 아닌 간식이자 약이었다. 겨울철 밤, 괜히 입이 궁금하다 싶으면 어머니께서는 고구마와 동치미 국물을 내오셨고 어떤 날은 소면을 시원하게 말아 먹기도 했다. 그 뿐이랴. 연탄가스에 살짝 중독되어 머리가 깨질 듯 아파하던 날, 얼음이 송송 맺힌 동치미 국물은 훌륭한 응급 처치 약이었다. 실제로 동치미는 젓산균, 초산균, 효모균 등 다양한 유산균으로 발효된 김치니 자연산 요구르트인 셈이다. 무더위 때문에 소화가 잘 안 되는 사람들에게는 그지 없이 좋은 김치라는 말이다. 동치미와 관련된 정보를 찾아 보면 동치미란 겨울 동치미와 여름 동치미가 있다고 하는데, 어릴 적 경험 때문일까, 동치미는 여전히 내게 추운 겨울 김치로만 각인되어 있다.
세월이 좋아지고, 이젠 일년 내내 다양한 채소를 먹을 수 있게 되었으니 새삼 동치미를 여름에 먹는다 해서 굳이 놀랄 일도 아니다. 게다가 굳이 집에서 담그지 않아도 다양한 김치들을 언제든 사서 먹을 수 있게 되었으니 굳이 추운 겨울 밤을 기다려 동치미를 먹을 필요도 없게 됐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날이면 정말 꼼짝도 하기 싫고 아무 것도 먹기 싫다. 이럴 땐 그저 시원한 냉면이 최고다. 기왕 동치미 얘기가 나온 김에 시원하고 톡 쏘는 동치미로 동치미 냉면을 만들어 먹으면 어떨까. 그래서 선택한 김치가 바로 꼬마김치 한울의 동치미다. 1kg에 3,600원. 이 정도면 어른 두 사람이 냉면을 만들어 먹기에 충분하다.

아삭 아삭한 무에 갓, 쪽파, 삭힌 고추, 당근 등이 들어 있는 동치미는 아삭하고 시원한 맛을 느끼기엔 부족함이 없다. 삭힌 고추의 매캐한 군내가 오히려 입 맛을 돋군다. 충분히 익은 동치미도 무가 물러지지 않고 탱탱한 것이 특징. 여기에 그냥 면을 말아 먹으면 어떨까 했지만 ^^ 이미 강한 양념에 길들여진 입 맛에는 동치미 국물만으로는 왠지 부족한 느낌이 든다. 사실 유명한 김치말이 국수집이나 동치미 냉면집은 김치 국물 외에 고기 육수를 쓴다. 그래야 진한 맛이 우러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에서 당장 고기 육수를 낼 수 없으니 방법은 하나. ^^ 좀 옹색하기는 하지만 이미 팔고 있는 냉면 육수 하나 정도를 사서 추가로 넣는다. 그리고 입맛에 따라 식초나 소금, 설탕을 넣어 간을 맞춘다.

이렇게 낸 국물에 삶아서 찬물에 헹궈 얼음을 재워 둔 냉면을 말아보자. 냉면 아니라 소면인 들 어떨까. 한 여름, 더위 때문에 잃어버린 입 맛을 시원하게 되잧아 줄 동치미 냉면 한 그릇으로, 잠 못 이루는 밤 간식 한 끼 훌륭하지 않을까.
'김치 블로그 > 엔조이 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장철 시리즈 #1 - 총각김치 담기 (0) | 2007.11.19 |
---|---|
김치가 맛있는 칼국수집 1탄 - 여의도 정우칼국수 (2) | 2007.10.11 |
볶음김치가 있는 오뎅바 (7) | 2007.08.20 |
비비는 즐거움, 열무비빔국수 (8) | 2007.08.13 |
간편하게 말아 먹는 열무물냉면 (6) | 2007.08.06 |
와인과 백김치, 그 환상의 궁합 (4) | 2007.07.27 |
아빠가 비비는 열무양푼비빕밥 (2) | 2007.07.23 |
고기를 김치에 싸 먹으면 더 맛있는 이유 (6) | 2007.06.22 |
출출할 땐 그만, 열무김치 소면 (0) | 2007.05.29 |
깔끔하고 개운한 맛, 토마토 볶음 김치 스파게티 (0) | 2007.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