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김치의 문제점 : 김치가 변질된다
지나치게 가격에 얽매이는 데다가 생산, 유통 과정을 확인할 수 없는 까닭에 안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중국산 김치. 그러나 비단 중국산 김치의 문제는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김치가 변질되어 간다'는 점이다.
김치는 미생물인 유산균이 활동하면서 만들어 낸 신의 선물이다. 그런데 김치에 들어 있는 이 유산균은 단순히 한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김치에 있는 유산균은 최대 3천여 종이라는데, 기후나 재료, 지역의 특성 등에 따라 주로 활동하는 유산균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로부터 지역 마다 집안 마다 김치 맛이 다르다고 하는 것은 양념이나 젓갈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겠지만, 주로 활동하는 유산균이 집집 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담은 김치도 이렇게 맛이 다른데, 하물며 중국에서 만든 김치는 오죽하겠는가. 중국에서 만든 김치는 김치의 모양과 맛을 흉내 낸 것일 뿐 진정한 김치라 볼 수 없다. 결국 김치가 진정한 김치의 맛을 잃어가고, 우리 모두가 그런 김치에 맛을 들이게 되면 우리의 문화 유산인 김치는 그 모습이 변질되어 버리는 것이다.
게다가 이 문제는, 단순히 우리나라의 문제로 그치지 않는다. 아직까지 중국산 김치는 대부분 한국으로 수출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싼 가격을 무기로 일본과 미국 등으로도 수출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애매모호한 맛을 가진 중국산 김치들의 외국 시장까지 점유하게 되면 우리나라 김치 산업이 경쟁력을 잃는 것은 물론 한민족 고유의 김치 조차도 세계 시장에서 변질된 제품으로 인식되고 말 것이다.
단순히 싸다고 중국산 김치를 사 먹으면 안 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외식이 많이 늘어나고 알게 모르게 중국산 김치에 길들여진 요즘 어린이들은 김치 맛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연히 이런 아이들에겐 김치가 제일 먹기 싫은 음식이 되어버릴 수 밖에. 할머니가 담근 김치를 먹고 자란 아이들이 김치를 잘 먹고, 김치 맛을 아는 것을 보면 제대로 된 우리 국산 김치를 먹고, 먹여야 할 이유가 더 뚜렷해진다. 우리 어린이들이 중국산 김치가 진짜 김치인줄 알기 이전에 진짜 김치 맛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김치 블로그 > 김치 데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에선 어떤 김치가 많이 팔릴까? (0) | 2007.07.31 |
---|---|
일부 수입김치서 허용 금지 감미료 검출 (0) | 2007.07.09 |
[식약청 뉴스] 중국산 다대기에 붉은 색소 사용 금지 (2) | 2007.06.19 |
[책] 암을 이기는 한국인의 음식 54가지 (2) | 2007.06.13 |
김치, 입맛 대로 골라사는 시대 열린다 (0) | 2007.05.25 |
중국산 김치의 문제점 : 과연 안전할까? (2) | 2007.05.14 |
5월 둘째 주 김치 블로그 스피어 (2) | 2007.05.11 |
우리는 매일 중국산 김치를 먹는다 (2) | 2007.05.10 |
김치 살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마크 ‘HACCP’ (8) | 2007.05.08 |
한미FTA 계기로 김치 수출 강화한다 (0) | 200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