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살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마크 #2 ‘전통식품마크'

/김치 블로그/김치 데스크   -  2007. 8. 21. 18:46

얼마 전 깨끗하지 않은 값싼 중국산 농산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먹거리에 대한 근심이 점점 늘어난다는 얘기를 올렸습니다(관련 기사 보기). 이런 기사를 볼 때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화가 나기도 하고, 걱정도 됩니다만, 사실 뚜렷하게 구분할 방법이 없어서 더 걱정이지요. 결국 소비자가 똑똑해져야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깨끗한 먹거리를 고르는 방법으로 HACCP 마크를 확인하자는 기사도 예전에 올렸습니다(관련 기사 보기). HACCP는 전 세계적으로 식품에 들어갈 수 있는 위해 요소들을 걸러내는 식품 관리 기준이므로 일단 이 마크가 있다면 안전성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HACCP 인증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농림부에서 한국식품연구원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도 눈여겨 볼만 합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는 국산 농산물을 주원료로 만든 우리 고유의 맛과 향, 색깔을 내는 전통식품에 대해 우리 정부가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농림부에 따르면 이 제도는 199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07년 8월 현재 232개 업체, 284개 공장이 인증을 받았다고 합니다. 품목 별로 따지면 김치류가 107개 공장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추장 35개, 한과류 22개, 된장 21개, 간장 14개 공장 순이라는 군요.

한국전통식품 품질인증을 받으려면 제조 공장이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이 주관하는 12개 항목의 심사를 통과해야 하고 식품을 만드는 방법이 전통적인 방법이어야 합니다. 일단 공장 심사가 완료된 후에 식품에 대한 품질 시험도 실시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모든 과정을 통과하면 물레방아 모양의 전통식품 인증 마크를 받게 되지요. 최근 농림부는 이 마크의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사를 강화했으며 이에 따라 전통식품 인증마크를 받은 업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마크는 물레방아를 형상화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물레방아는 가공식품을 뜻하며 그림 중앙의 회전축은 전통식품문화를 계승한다는 의미랍니다. 또한 왼쪽 끝 12개의 점은 일년 열 두달을 의미한다네요. 앞으로 전통식품 인증제도에 대해 농림부가 홍보활동을 강화한다고 하니, 소비자들도 이 마크를 좀 더 자주 접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다양한 상품의 홍수 속에서 좋은 상품을 고르기란 참 어려운 일입니다. 그나마 정부에서 나서서 이런 제도를 시행해 주지 않으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대로 고르기도 쉽지 않겠지요. 앞으로 우리 음식 살 땐 전통 식품 마크를 한 번 찾아보는 것도 깨끗한 먹거리를 고르는 좋은 습관이 될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 자료 : 농수산물 수출입뉴스 2007년 8월 17일자

전통식품 인증 마크 받은 순수 국산 김치 구경 가기

카테고리

전체 (256)
김치 블로그 (189)
한울 소개 (12)
한울 김치 (9)
사이버홍보실 (46)

태그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보관함

Tistory 미디어브레인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