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는 절대로 깨끗해야 합니다

/김치 블로그/김치 데스크   -  2007. 8. 16. 14:05

2007년 8월 18일 조선일보가 '고급품은 일본으로… 싸구려는 한국으로'라는 제목으로 중국산 먹거리 문제점을 보도했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일본은 종자나 농약까지 밀착 관리하는데 비해 한국은 보따리상 등을 통해서 검사되지도 않은 싸구려 식품이 대거 반입된다고 합니다. 특히 진공포장 등으로 식품을 압축해 들어오는 보따리 상들이 최소 20kg을 가져온다고 할 때 하루에 적어도 10톤의 먹거리가 들어온다고 하는 군요. 이렇게 들어오는 물건들은 관세를 물지 않는 것은 물론 그 위생 상태를 알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조선일보 상세 기사 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기사가 김치블로그의 관심을 끈 건 기사 중간에 중국산 김치에 대한 언급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중국산 김치를 생산하는 곳에서 생산 상황을 보여달라고 하자 기밀이라 공개할 수 없다고 하며 견학용 위생복의 상태도 불량하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그렇게 확인할 바엔 김치를 담그라'라고 했답니다. 이 회사 김치는 1톤당 480달러에 수입된다는 군요. 이걸 kg 단위로 나눠 생각하면 1kg에 0.48 달러가 됩니다. 10kg이면 4.8달러. 우리 돈으로 약 4,500원 정도 되는 거지요? 순수 국산으로 만든 김치가 마트 등 소매 유통점에서 10kg당 3만5천원 정도 하는데, 도저히 비교할 수 없는 셈이지요. 물론 이 가격에 국내 유통 마진이 붙으면 실 소매가는 좀 더 비싸지겠지요. 그래서 실제 중국산 김치 소매가는 국산 김치의 4분의 1 정도입니다. 게다가 이 기사는 이 중국산 김치가 다른 중국산 김치보다 비교적 비싸다고 하는 군요.

비교적 비싼 김치도 위생 상태를 신뢰할 수 없는 정도니 이보다 더 싼 김치는 말할 것도 없겠지요. 특히 한국 바이어는 무조건 싼 김치만을 고집한다 하니, 이렇게 싸게 들어온 김치가 우리 식탁을 차지하는 것이 영 불안합니다.

최근 중국산 김치도 시설을 개선하고 위생 상태를 강화하면서 예전보다 훨씬 나아졌다는 얘기들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김치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쌉니다. 좋은 시설을 갖추고 위생 상태를 강화하면 가격이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싼 가격이라는 장점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지요.

다른 상품도 다 그렇지만, 상품 가격이 너무 싸면 일단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먹거리는 더합니다. 국산 김치가 비싼 것은 국내에서 제대로 생산된 좋은 재료를 쓰고, 김치를 담글 때 철저하게 깨끗한 위생 환경에서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국가의 관리 감독도 철저하고요. 그러다 보면 비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데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 국산 김치도 얼마든지 싸게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잔류농약검사 하지 않고 잘 씻지 않고, 인분으로 키운 배추 사다 쓰면 국산 김치도 더 싸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청정지역에서 깨끗하게 자라는 우리 배추. 사진은 전남 해남의 배추밭


다른 건 몰라도, 먹거리만큼은 안전해야 합니다. 깨끗해야 합니다. 김치블로그가 국산 김치를 먹자고 주장하는 건, 국산 김치는 중국산 김치와 달리 철저하게 확인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기 때문이고, 우리가, 우리 정부가 언제든 그 과정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똑 같은 조건이라면 싼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옳습니다. 먹거리도 조건이 같다면 당연히 싼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요. 그러나 조건이 다르다면, 만드는 재료와 환경이 다르다면 먹거리는 좀 더 세심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먹거리는 당장 먹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인체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흔히 하는 말로 '먹는 것 가지고 장난 치는 사람이 가장 나쁜 사람이다'라는 얘기가 있을 정도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치블로그가 국산 김치를 먹자고 주장하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물론 국산 김치도 비양심적으로 만들면 안되겠지요. 그래도 국산 김치는 나름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HACCP 인증을 받았다든지, 아니면 직접 견학을 간다든지 하는 방법들이 얼마든지 있거든요. 다른 건 몰라도 적어도 먹을 것만큼은 싼 가격 보다 재료나 생산 과정에 관심을 두고 살펴보는 것이 현명한 일입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건 이럴 때 하는 말이 아닐까요? ^^

김치블로그 관련 기사 보기

국산 김치 제조 과정 보러 가기
김치 살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마크 'HACCP'

깨끗하게 만드는 국산 김치 구경 가기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카테고리

전체 (256)
김치 블로그 (189)
한울 소개 (12)
한울 김치 (9)
사이버홍보실 (46)

태그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보관함

Tistory 미디어브레인 rss